안드로이드 프로젝트에서 MVC, MVP, MVVM을 위한 간략한 가이드
Model View Controller(MVC)
MVC 디자인 패턴은 세가지 양상으로 앱을 쪼갠다: Model, View, Controller. 일들을 강제로 분리시켜 도메인 model과 controller 로직을 유저 인터페이스(View)로부터 분리시켜준다. 결과적으로 앱을 유지보수하기 간편하고 테스트하기 쉽게 만들어준다.
Model
Model은 비즈니스 로직(즉 비즈니스 Model)과 데이터 접근 기능(Data Model)을 담은 클래스들의 집합으로 표현한다. 또한 데이터가 어떻게 바뀌고 다뤄지는지에대한 비즈니스 규칙을 정의한다.
View
View는 UI 컴포넌트를 표현한다. View는 Controller로부터 받은 결과의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하는 역할만을 가지고 있다. 또한 Model을 UI에 넣어 적용하는 일도 한다.
Controller
Controller는 들어온 요청을 처리하는 역할을 한다. Vie를 통해 사용자의 입력을 받으면 Model의 도움으로 사용자의 데이터를 처리하고 다시 그 결과를 View에 보내준다. 보통은 View와 Model 사이에 중재자 역할을 한다.
Model View Presenter(MVP)
이 패턴은 Controller 대신 Presenter가 들어간 MVC와 유사한 형태의 패턴이다. 이 디자인 패턴은 세가지 주 양상으로 앱을 쪼갠다: Model, View, Presenter
Model
Model은 비즈니스 로직(즉 비즈니스 Model)과 데이터 접근 기능(Data Model)을 담은 클래스들의 집합으로 표현한다. 또한 데이터가 어떻게 바뀌고 다뤄지는지에대한 비즈니스 규칙을 정의한다.
View
View는 UI 컴포넌트를 표현한다. View는 Controller로부터 받은 결과의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하는 역할만을 가지고 있다. 또한 Model을 UI에 넣어 적용하는 일도 한다.
Presenter
Presenter는 View의 도움으로 모든 UI 이벤트를 다루는 역할이다. view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을 받고, Model의 도움으로 사용자의 데이터를 처리한 뒤, 다시 View에 결과물을 돌려준다. View와 Controller에서와는 다르게 View와 Presenter는 서로 완전히 분리되있고 인터페이스에의해 서로 소통하는 방식이다.
또한 Presenter는 Controller처럼 들어오는 요청 트래픽을 관리하지 않는다.
MVP 패턴의 요점
- 사용자는 View에서 상호작용한다.
- View와 Presenter는 one-to-one 관계를 가진다. 이 의미는 하나의 View는 하나의 Presenter에 맵핑된다.
- View는 Presenter에 참조하고 있지만, Model에는 참조하지 않는다.
- View와 Presenter 사이에 두 방향으로 소통할 수 있다.
Model View ViewModel(MVVM)
MVVM은 Model-View-ViewModel로 정의된다. 이 패턴은 View와 ViewModel 사이에서 두방향 데이터 바인딩을 지원한다. 이것은 ViewModel에서 View에게 자동으로 변화를 전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ViewModel에서 View로 변화를 알림받는 옵저서 패턴을 사용한다.
Model
Model은 비즈니스 로직(즉 비즈니스 Model)과 데이터 접근 기능(Data Model)을 담은 클래스들의 집합으로 표현한다. 또한 데이터가 어떻게 바뀌고 다뤄지는지에대한 비즈니스 규칙을 정의한다.
View
View는 UI 컴포넌트를 표현한다. View는 Controller로부터 받은 결과의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하는 역할만을 가지고 있다. 또한 Model을 UI에 넣어 적용하는 일도 한다.
ViewModel
ViewModel은 View의 상태를 유지, View의 액션 결과로 Model을 다루기, View 자체에서 이벤트를 트리거하는 그런 메소드나 명령, 다른 프로퍼티들을 노출시키는 역할을 한다.
MVVM 패턴의 요점
- 사용자는 View에서 상호작용한다.
- View와 ViewModel은 many-to-one 관계를 가진다. 그 의미는 여러 View는 하나의 ViewModel에 맴핑될 수 있다.
- View는 ViewModel에 참조되지만 ViewModel은 View에대해 모른다.
- View와 ViewModel의 사이에 두방향 데이터 바인딩을 제공한다.
안드로이드 구현
앞으로 "Controller"라는 용어를 앞에서 말한 Controller, Presenter, ViewModel과 같은 의미로 사용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드로이드에서는 Activity 클래스가 Controller이고 Fragment 클래스가 View 영역이다. 그러나 이것은 코드의 재사용성을 줄인다. 또한 Fragment와 Activity는 제한적으로 화면 전환 애니메이션이 가능하다.
View 영역(layer)을 위한 UI 클래스(i.e. LinearLayout)
View 영역은 LinearLayout이나 ViewGroup과 같은 View(UI) 엘리먼트를 상속하여 View를 구현할 수 있다.
- Activity / 앱 플로우의 독립적인 기능을 재사용할 수 있다.
- Activity 수를 줄인다.(앱 용량을 덜 잡아 먹는다)
- Controller와 의존적인 부분을 줄인다.
(독립된) Controller 클래스
Controller 클래스는 어떤 안드로이드의 클래스를 상속받아서도 안된다. Activity와 Fragment로부터 독립적이게 해주어야 재사용이 가능할 것이다.
- Controller를 가볍게 만들어라, View와 Model을 연결해주는 역할만 하면 된다.(단일 책임 원칙)
- 이벤트를 다른 Controller에게 넘겨주어라(i.e. analytics)
- 안드로이드 클래스로부터 분리해라 ― 재사용을 위해
관련된 좋은 습관들
Activity 클래스의 의존성을 줄이기
- Controller는 추상화에 의존한다(interface)
- 시스템 구성과 의존성을 컨트롤하기위해 코드 중심에 위치시킨다.
- 차후에 의존성 주입(dependency injection)을 옮길 수 있게 한다.
Analytics, A/B 테스트 등을 분리하기 위한 파사드(facade)
- 우리는 여러 기록장치를 사용하기 때문에 파사드를 이용해 이 API들을 한데 모아둘 필요가 있다.
- A/B 테스트나 다른 임시적인 기능들은 추상화돼있어야하고, 분리된 Controller나 파사드를 통해 접근가능해야한다.
이것들은 어떻게 생겼을까?
테스트에 용이
저렇게 잘 구현하여 Activity로부터 완전히 분리시킨다면, 테스트하기 아주 수훨해 질 것이다. 일반적으로 Activity는 수많은 것(디바이스의 시스템 구성, 네비게이션, 스타일, 액션바..)을 다루며 이것이 테스트의 범위를 너무 크게 만들어버린다.
위와같은 방법으로 Robelectric 테스트는 모든 의존성의 모의 객체(mock)를 만들어주고, 바깥에서 유닛 테스트 할 수 있게 해준다.
사용가능한 라이브러리&프레임워크
아래 안드로이드 프레임워크는 앞서 말한 것들을 구현할 수 있게 해준다. 우리는 지금 시점에서 저것들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으나, 나중에 코드베이스 전반에 걸쳐 적용시켜보려한다면 손쉽게 사용해볼 수 있을 것이다.
- Square mortar: Activity 라이프 사이클의 행동으로부터 분리시켜, View를 가볍게 만들고 View를 Controller와 한 쌍으로 만들어주는 간편한 라이브러리
- inloop AndroidViewModel: 엄청난 양의 코드 없이 Fragment나 Activity로부터 데이터와 상태를 분리시켜준다. 벙어리(dumb) View가 되는걸 줄인다.
- sockeqwe mosby: 현대 안드로이드 앱을 위한 Model-View-Presenter 라이브러리.
'그 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번역] 리액티브 프로그래밍이란? (0) | 2017.03.03 |
---|
WRITTEN BY
- tucan.dev
개인 iOS 개발, tucan9389
,